Yojigom Blog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8건

  1. B-WAY 필터 02
  2. B-WAY 필터 01
  3. 탐론 SP 70-200mm F/2.8 Di VC USD G2
  4. 15-30G2
  5. TAMRON 17-28mm F/2.8 Di III RXD A046
  6. BOYA WM8 PRO-K2
  7. 헤헤헤
  8. 탐론 28-75

B-WAY 필터 02

카테고리 없음

 

B-WAY 필터 01

카테고리 없음

탐론 SP 70-200mm F/2.8 Di VC USD G2

카테고리 없음

15-30G2

카테고리 없음

TAMRON 17-28mm F/2.8 Di III RXD A046

카테고리 없음

BOYA WM8 PRO-K2

카테고리 없음

헤헤헤

카테고리 없음

- 화이트노이즈 테스트 : 레코더 카메라에서 각각 마이크 유무, 타사마이크 비교


마이크의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화이트노이즈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정확한 수음을 위하여 카메라가 아닌 레코더와 BY-WM8 PRO 수신기를 연결하여 녹음하였으며, 주변 소음이 차단된 상황에서 레코더와 무선마이크를 동일한 위치에 놓고 각각 웨이브 파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장 먼저 레코더에서 수음한 웨이브 파형이다. 기본 마이크가 무지향성의 옴니 마이크이기에 수음 범위가 넓어 일정 수준의 화이트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일한 위치에서 BY-WM8 PRO를 통해 수음한 웨이브 파형이다. 목소리는 선명하게 녹음된 반면 화이트노이즈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음 범위가 넓지 않아 가까이에 있는 목소리에 비해 주변 소음이 들어가지 않는다.


 

 

 

 

카메라 기본 마이크 수음 - 화이트노이즈가 많이 끼는 것을 볼 수 있음

 

카메라에 BY-WM8 PRO를 통한 수음 - 말소리가 선명하면서 화이트노이즈가 적음.

 

 

 

 




이번에는 SONY 무선마이크 UWP-V1과 수음 능력 및 화이트노이즈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테스트해보았다. 주변 소음이 차단된 상황에서 레코더의 오디오 레벨이 동일한 수준에 오도록 각 마이크의 볼륨을 조절한 뒤 같은 위치에 송신기를 놓고 진행하였다.

 

 

▲ BOYA WM8 PRO

 

 

▲ SONY UWP-V1

일반적으로 파형에서의 진폭이 크다는 것은 음량이 크다는 의미이지만, 거의 비슷한 음량에서도 파형의 진폭이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파형이 위, 아래로 날카롭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마이크에서 일정 대역대를 벗어나는 소리는 수음하지 않는 경우로 볼 수 있다.

BOYA WM8 PRO 경우 보다 넓은 대역대의 소리를 수음할 수 있으며, 주변 소음이 없는 상황에서의 화이트 노이즈 역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윈드 스크린 바람소리 테스트
노이즈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는 바람소리를 윈드 스크린이 얼마나 억제할 수 있는지 테스트해보았다. 일정 거리에 마이크를 고정하고 화이트노이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레코더에 연결한 뒤, 선풍기를 틀어 머리카락이 휘날리는 상황을 연출하여 상황별로 녹음 후 파형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장 먼저 선풍기 헤드를 돌려 바람이 닿지 않는 상황에서 소음이 얼마나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일직선에 가까운 파형으로 약간의 소음이 일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이크에 윈드 스크린이 장착된 상태에서 선풍기 헤드를 돌려 바람이 마이크를 향하도록 하였다. 헤드폰을 통한 오디오 모니터링에서는 바람소리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이었지만 웨이브 파형에서는 기존 소음에 약간의 노이즈가 낀 것을 볼 수 있다.


위 상태에서 윈드 스크린을 제거한 뒤 녹음하였다. 헤드폰을 통한 오디오 모니터링에서도 바람소리가 크게 들리며, 큰 파형을 그리며 수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윈드 스크린이 바람소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론 28-75

카테고리 없음

탐론28-75리뷰